환대/공유/자치 공동체 네트워크

알림

집들이 없어지고, 또 새로 생겨나려 하는 과정에서…

해방촌에 살지 않는 빈고 조합원들과 함께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해방촌에 사는 다른 주민들과 함께 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대략 이런 형태는 어떨까 하는 고민을 좀 구체화해봤습니다. 

아직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단계는 전혀 아니고, 그냥 단상 수준입니다.

아이디어는 옛날부터 상상했던 건데… 

어차피 이제 제 머리속에서는 더 진전되지도 않아서…

일단 던져 봅니다. 

말이 되는 것 같은지, 재밌을 것 같은지, 참고로만 봐주세요. 

그리고 아이디어를 모으고 그림을 같이 그려봐요. 

괜찮은 그림이 나오면… 여러 회의들을 통해서 구체화시켜볼 수도 있겠지요. 

=========================================================================================

환대/공유/자치 공동체 네트워크

제안의 배경

– 모든 집이 ‘빈집’이 될 필요는 없으며, 그것이 옳은 것도 아니다. 

– ‘빈집’이 아니라고 해서 빈집과 빈고의 자원을 공유하지 않을 이유는 없다. 

– 이미 ‘빈집’들은 하나같이 다양했고, 다양한 집들에서 발전시켜온 고유성과 특색은 존중되어야 한다. 

– 집 계약자가 모든 책임과 권한을 떠 안지 않고도, 집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 당장 돈이 부족하더라도 아이디어와 책임감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새로운 집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 빈집이 서울 해방촌에만 있을 필요는 없다.

– 해방촌에 있지 않은 빈고 조합원들도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 ‘빈집’에 살지 않고, 자기가 사는 집을 빈집으로 만들 수는 없지만, 다양한 방식으로 환대하고 공유하는 노력들을 엮어내자.

– 빈집이 지향하는 가치와 그동안의 경험과 노하우를 정리하고, 이를 새로 만들어지는 집들과 공유한다.  

제안의 내용

– 환대/공유/자치의 가치를 지향하는 방방곳곳의 공동체와 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모으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 공동체들은 서로에 대해서 연대하고 지원하고 협력한다. 

– 네트워크의 공동체 구성원들은 자유롭게 서로를 방문하고 환대한다.

– 아래와 같은 구체적인 실천들을 현실화하는 공동체에 대해서는 빈고가 재정적인 협력을 할 수 있다.

– 빈고 조합원은 이들 공동체에 대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절차를 거쳐 자유롭게 방문할 수 있다. 

– 빈고 조합원은 다른 조합원에 대한 환대의 의무와 기회를 갖는다. 

– 빈고는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와 공동주거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출자하고, 공동체 공간 보증금 등에 대출하는 역할을 주업무로 하는 신용협동조합으로서 기능한다. 

– 해방촌의 집들은 빈가게를 중심으로 해방촌 지역 주민들과 함께 살아가는 지역 기반의 생활협동조합을 만든다.

빈고 대출 및 지원의 조건(초안)

환대

– 기본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어야 한다. 

– 주인은 손님을 환대하고, 손님은 주인을 존중한다. 

– 환대를 위한 적절한 규모와 인원 규칙 비용은 각 공간이 자치적으로 결정한다. 

– 각 공간의 구성원들 서로 자유로운 왕래가 가능하다.

– 연락담당자 필요

공유

– 빙고 조합원 가입, 출자금 납입

– 모든 구성원은 출자금액과 무관하게 동등한 분담금을 내고, 분배금을 받는다.

– 한 달에 한 번 재정을 정산하고, 그 결과를 공개한다. 

– 생산물의 공유

– 재정담당자 필요

자치

– 모든 종류의 차별과 폭력에 반대하는 민주적인 의사소통 구조

– 모든 구성원의 공간의 안정적인 유지와 발전을 위한 의무와 권리를 동등하게 나눈다. 

– 모든 구성원은 공간에 필요한 일과 사랑을 균등하게 나눠질 수 있도록 애쓴다.

– 최소 3인이 공동 책임자가 운영과 유지에 관한 최종 책임을 지고, 그에 따른 권리를 갖는다. 

– 1주일 1회의 정기적인 회의/식사/모임을 갖는다.

– 모임담당자 필요

Like알림

댓글 3개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 손님

    제안의 내용 중 마지막에 해방촌 집들이 ‘빈가게를 중심으로’ 지역주민들과 살아간다는 부분에서

    좀 더 구체적인 제안을 하나 해볼게요.

     

    빈가게에서 일하고 놀면서 보니 앞집과 옆집은 먹거리나 생활용품 대부분을 가게에서 구입하는 거 같더라구요.

    가게에 구비되어 있는 생협물품들 말이에요.

    지금 아랫집에선 제일 저렴한 마트를 찾아 생필품을 구입하고 있어요.

    그리고 1월 처음 마을잔치갔을 때 식료품 공동구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던 기억이 나요.

     

    같이 모여 살게 되면, 소비 혹은 소비주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게 될 거같아요

    개인적으론 삶의 자릴 어느 정도 잡게 되면,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도 있다고 생각하구요.

    물론 각 집별 자치회의를 통해 다양한 결정이 나겠죠.

    그 이야기들을 모아 마을회의 때 얘기해보고

    합의된 집들끼리는 빈가게를 중심으로 생필품 공동구매를 하면 어떨까합니다.

    아마 여기서 더 구체적으로 나눠야 할 이야기나 제안들이 많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그렇게 하다보면 빈마을 집들을 넘어 해방촌의 다른 이웃들과도 알음알음 넓혀갈 수도 있을 

    것도 같구요.

     

    음.

    환대/공유/자치 공동체네트워크, 라니 기쁩니다^&^

    -잔잔

     

  • 손님

    환대/공유/자치 공동체네트워크…라…?…..ㅎㅎ

    마을 혹은 지역에서의 공동체들이 엄혹한 자본주의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내부안정화보다는 열린 구조로써의 외부….네트워크로서의 외부를 갖는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지요…ㅎㅎ

     

    특히, 자본주의적 방식으로 살지 않기 위해서는 더욱더 이러한 네트워크조직 어떻게 만들어 갈 것인가가

    고민이었었는데 마침 지음이 제안을 해서 너무 반갑네요….ㅎㅎ

    이런 저런 것들에 대해서 좀더 고민들과 공부들을 하고 존비하고 공유해야 겠지만

    여튼 화두처럼 던져진 무엇인가가 있어서 좋다는 생각입니다….ㅎㅎ

     

    저도 좀더 고민하도록 해보지요….ㅎㅎ

     

    —————-우중산책————-

댓글

*